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2001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아르헨티나

덤프버전 :



FIFA U-20 월드컵
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아르헨티나 2001™
FIFA World Youth Championship Argentina 2001™
Copa Mundial Juvenil de la FIFA Argentina 2001
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2001_FIFA_World_Youth_Championship.png
대회기간 2001년 6월 17일 ~ 2001년 7월 8일
개최국 아르헨티나
본선 진출팀 24개팀
대회 결과
우승 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 아르헨티나
준우승 파일:가나 국기.svg 가나
3위 파일:이집트 국기.svg 이집트
4위 파일:파라과이 국기.svg 파라과이
골든 볼 하비에르 사비올라
골든 부츠 하비에르 사비올라
이전·이후 대회
1999년
나이지리아
2001년
아르헨티나
2003년
아랍에미리트

1. 개요
2. 본선 진출국
3. 조 편성
4. 참가팀 정보
5. 경기 결과
5.1. 조별 리그
5.1.1. A조
5.1.2. B조
5.1.3. C조
5.1.4. D조
5.1.5. E조
5.1.6. F조
5.1.7. 조 3위 간 경쟁
5.2. 16강
5.3. 8강
5.4. 4강
5.5. 3, 4위전
5.6. 결승
6. 최종 순위
7. 이야기



1. 개요[편집]


2001년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은 2001년 6월 17일부터 7월 8일까지 아르헨티나의 6개 경기장(6개 도시)에서 치러졌다.

대회 역사상 가장 압도적인 우승팀이 탄생한 대회로 아르헨티나는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7전 전승에 27골, 4실점으로 +23의 단일 대회 최다 골득실을 기록하며 완벽한 우승을 이뤘다.[1] 또한 득점왕에 오른 하비에르 사비올라는 11골로 역대 대회 득점왕 중 두 번째로[2]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한 선수로 이름을 남겼다.

지난 대회 아시아에서 사상 두 번째로 결승에 오른 일본은 조별리그 꼴찌로 탈락하는 굴욕을 맛본 것과 달리 중국이 16강에 진출하며 꽤나 선전한 대회다.[3] 반대로, 대한민국 19세 이하 AFC 대회에 출전해 4강에도 진출하지 못하는 대참사를 겪고 이 대회 본선에 오르지도 못했다.

2. 본선 진출국[편집]


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
유럽
(UEFA)
파일:프랑스 국기.svg프랑스2000 UEFA U-18 챔피언십
독일[4]
우승6장3회19978강
파일:우크라이나 국기.svg우크라이나준우승첫 진출--
파일:독일 국기.svg독일3위6회[5]1999우승[GER]
파일:체코 국기.svg체코4위3회[6]19898강
파일:핀란드 국기.svg핀란드5위첫 진출--
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네덜란드6위3회19958강
오세아니아
(OFC)
파일:호주 국기.svg호주2000 OFC U-20 챔피언십
쿠크 제도/누벨칼레도니
우승1장10회19994위
아프리카
(CAF)
파일:앙골라 국기.svg앙골라2001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
에티오피아
우승4장첫 진출--
파일:가나 국기.svg가나준우승4회1999준우승
파일:이집트 국기.svg이집트3위3회19918강
파일:에티오피아 국기.svg에티오피아4위첫 진출--
아시아
(AFC)
파일:이라크 국기.svg이라크2000 AFC 유스 챔피언십
이란
우승4장3회19898강
파일:일본 국기.svg일본준우승5회1999준우승
파일:중국 국기.svg중국3위4회19978강
파일:이란 국기.svg이란4위2회1977조별
남미
(CONMEBOL)
파일:브라질 국기.svg브라질2001 남아메리카 U-20 챔피언십
에콰도르
우승4장12회1999우승[BRA]
파일:파라과이 국기.svg파라과이3위6회19998강
파일:칠레 국기.svg칠레4위3회19954위
파일:에콰도르 국기.svg에콰도르5위[7]첫 진출--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아르헨티나개최국[8]1장8회1999우승[ARG]
북중미
(CONCACAF)
파일:코스타리카 국기.svg코스타리카2001 CONCACAF U-20 토너먼트
캐나다/트리니다드토바고[9]
1위4장5회1999조별
파일:미국 국기.svg미국2위8회19994위
파일:캐나다 국기.svg캐나다3위5회199716강
파일:자메이카 국기.svg자메이카4위첫 진출--

3. 조 편성[편집]



4. 참가팀 정보[편집]



5. 경기 결과[편집]




5.1. 조별 리그[편집]




5.1.1. A조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
아르헨티나3300142+129
이집트311138+54
핀란드310224-23
자메이카301216-51

6월 17일아르헨티나 2 : 0 핀란드
6월 17일이집트 0 : 0 자메이카
6월 20일자메이카 0 : 1 핀란드
6월 20일이집트 1 : 7 아르헨티나
6월 23일아르헨티나 5 : 1 자메이카
6월 23일핀란드 1 : 2 이집트


5.1.2. B조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
브라질3300101+99
독일320173+46
이라크310259-43
캐나다300309-90

6월 17일브라질 2 : 0 독일
6월 17일이라크 3 : 0 캐나다
6월 20일캐나다 0 : 4 독일
6월 20일이라크 1 : 6 브라질
6월 23일브라질 2 : 0 캐나다
6월 23일독일 3 : 1 이라크


5.1.3. C조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
우크라이나312053+25
미국311153+24
중국31111104
칠레310248-43

6월 17일미국 0 : 1 중국
6월 17일칠레 2 : 4 우크라이나
6월 20일우크라이나 0 : 0 중국
6월 20일칠레 1 : 4 미국
6월 23일미국 1 : 1 우크라이나
6월 23일중국 0 : 1 칠레

  • 이번 대회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을 보였던 조 중 하나이다. 모든 팀이 1승을 기록했으며, 칠레를 이긴 미국을 이긴 중국을 이긴 칠레라는 말로 요약되는 결과를 만들었다.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세 팀이 가위바위보하듯 서로 1승 1패를 주고받은 것. 결국 우크라이나에게 패한 칠레가 조 최하위로 탈락했으며, 우크라이나와 비긴 나머지 두 팀이 2위와 3위가 되었다. 성인 대표팀과는 달리 연령별 대표팀에서는 나름대로 선전하던 중국은 세 경기에서 단 1실점만 내어주는 짠물 수비로 조 3위 간 경합에 합류했다.

5.1.4. D조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
앙골라312032+15
체코31113304
호주311134-14
일본31024403

6월 18일앙골라 0 : 0 체코
6월 18일일본 0 : 2 호주
6월 21일호주 0 : 3 체코
6월 21일일본 1 : 2 앙골라
6월 24일앙골라 1 : 1 호주
6월 24일체코 0 : 3 일본

  • C조와 판박이로 경쟁구도가 흘러간 조였으며, 네 팀이 얻게 된 승점까지 정확히 같았다. 호주를 이긴 체코를 이긴 일본을 이긴 호주라는, 마치 가위바위보를 연상케 하는 전적이 나왔다. 게다가 첫 경기에서 호주가 1골을 더 넣었더라면 앙골라를 제외한 모든 세 팀이 3대 0이라는 결과로 맞물리는, 더욱 해괴한 결과가 나올 뻔했다. 나머지 세 팀의 경쟁을 틈타 가장 최약체로 꼽히던 앙골라가 조 1위로 치고 올라갔고, 이런 앙골라에 패한 일본이 조 최하위로 탈락이 확정되며 같은 동아시아 팀인 중국에도 밀리는 결과를 받아들였다.

5.1.5. E조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
코스타리카330072+59
에콰도르31113304
네덜란드311156-14
에티오피아300348-40

6월 18일에콰도르 2 : 1 에티오피아
6월 18일네덜란드 1 : 3 코스타리카
6월 21일코스타리카 3 : 1 에티오피아
6월 21일에콰도르 1 : 1 네덜란드
6월 24일에콰도르 0 : 1 코스타리카
6월 24일에티오피아 2 : 3 네덜란드


5.1.6. F조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
가나321031+27
프랑스312072+55
파라과이311154+14
이란300308-80

6월 18일가나 2 : 1 파라과이
6월 18일프랑스 5 : 0 이란
6월 21일프랑스 2 : 2 파라과이
6월 21일가나 1 : 0 이란
6월 24일가나 0 : 0 프랑스
6월 24일파라과이 2 : 0 이란


5.1.7. 조 3위 간 경쟁[편집]


경기수득실차승점결과
파라과이311154+1416강 진출
호주311134+1416강 진출
중국3111110416강 진출
네덜란드311156-1416강 진출
핀란드310224-23조별리그 탈락
이라크310259-43조별리그 탈락


5.2. 16강[편집]


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
6월 27일미국0:2이집트
6월 27일아르헨티나2:1중국
6월 27일프랑스3:2독일
6월 27일브라질4:0호주
6월 28일우크라이나1:2파라과이
6월 28일앙골라0:2네덜란드
6월 28일코스타리카1:2체코
6월 28일가나1:0에콰도르


5.3. 8강[편집]


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
7월 1일아르헨티나3:1프랑스
7월 1일가나2:1브라질
7월 1일체코0:1파라과이
7월 1일네덜란드1:2이집트


5.4. 4강[편집]


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
7월 4일이집트0:2가나
7월 4일파라과이0:5아르헨티나


5.5. 3, 4위전[편집]


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
7월 8일파라과이0:1이집트


5.6. 결승[편집]


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
7월 8일아르헨티나3:0가나


6. 최종 순위[편집]


2001 FIFA U-20 월드컵 우승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
아르헨티나
네 번째 우승

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
1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 아르헨티나7700274+2321우승
2파일:가나 국기.svg 가나751185+316준우승
3파일:이집트 국기.svg 이집트7412811-3133위
4파일:파라과이 국기.svg 파라과이7313811-3104위
5파일:브라질 국기.svg 브라질5401153+12128강
6파일:프랑스 국기.svg 프랑스5221117+488강
7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 네덜란드521288078강
8파일:체코 국기.svg 체코521255078강
9파일:코스타리카 국기.svg 코스타리카430184+4916강
10파일:독일 국기.svg 독일420296+3616강
11파일:우크라이나 국기.svg 우크라이나412165+1516강
12파일:앙골라 국기.svg 앙골라412134-1516강
13파일:미국 국기.svg 미국4112550416강
14파일:에콰도르 국기.svg 에콰도르411234-1416강
15파일:중국 국기.svg 중국411223-1416강
16파일:호주 국기.svg 호주411238-5416강
17파일:일본 국기.svg 일본310244031라운드
18파일:핀란드 국기.svg 핀란드310224-231라운드
19파일:이라크 국기.svg 이라크310259-431라운드
20파일:칠레 국기.svg 칠레310248-431라운드
21파일:자메이카 국기.svg 자메이카301216-511라운드
22파일:에티오피아 국기.svg 에티오피아300348-401라운드
23파일:이란 국기.svg 이란300308-801라운드
24파일:캐나다 국기.svg 캐나다300309-901라운드

7. 이야기[편집]


  • 1999년 나이지리아 대회에서 준우승을 거둔 일본은 이번 대회에서도 선전을 기대하며 조별리그에 참여했으나 상대적으로 약체라고 파악했던 앙골라에 패배하며 조별리그에서 최하위로 탈락했다. 같이 본선에 올랐던 중국은 미국을 꺾고 조 3위간 경합에서도 승리하여 조별리그를 통과한지라 결과적으로 체면을 구기게 되었다. 그리고 22년 뒤 같은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대회에서도 일본은 다시금 약체라고 파악했던 이스라엘에 패배하면서 똑같이 1승 2패의 결과를 거두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게 된다. 반대로 직전 대회에서 준우승을 거둔 한국이 이 당시의 자신들과는 달리 조별리그를 통과하고 4강까지 오르는 성적을 거둬 더욱 비교가 되는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 것은 덤. 다만, 이스라엘은 일본에 이어 16강에서 우즈베키스탄, 3, 4위전에서 한국까지 이기며 아시아 킬러 같은 모습을 2023년 대회에서 보여줬다.

  • 이 대회에서 이란과 이라크도 조별리그에서 영 힘을 쓰지 못하고 일본과 같이 탈락했다. 특히 이란은 세 경기에서 1득점도 올리지 못하고 전패했다.

  • 결국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조별리그를 통과한 팀은 중국이 되었다. 중국 입장에서는 20세 이하 대회에서 처음으로 16강에 올라갔기에 나름대로 엄청난 성과를 낸 셈. 다만 중국은 2005년 네덜란드 대회에서 2번째로 조별리그를 통과하기는 했으나 이게 마지막이었고, 그 이후에는 본선 진출 자체를 하지 못하고 있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0-16 00:24:13에 나무위키 2001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아르헨티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의외로 아르헨티나가 가장 고전했던 경기가 바로 16강전 중국과의 경기였다.[2] 첫 번째는 1997년 브라질의 아다이우통.[3] 그러나 중국은 2005년 대회에서도 16강에 오르는 등 성장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이후 본선조차 못 올라오며 줄곧 아시아 대회에서 고전 중에 있다.[4] 대회 기준으로 18세, 즉 본선 대회에 19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.[5] 통일 독일로는 4회[GER] 1981[6] 체코 분리 후로는 첫 진출[BRA] 1983, 1985, 1993[7] 대회 개최국 아르헨티나가 남미 대회 준우승을 하면서 이 티켓이 5위에게 양도되었다.[8] 남미 대회에서는 준우승.[ARG] 1979, 1995, 1997[9] 이 대회는 따로 우승국을 가리지 않고 4장의 진출권 주인만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. 순위는 조별리그 성적으로 임의로 매겨진 것이다.